|
|
|
|
廣 場-최인훈
|
|
|
|
廣 場
광장은 1960년에 <새벽>誌에 발표된 최인훈의 作品이다.
이 작품은 이데올로기에 의한 分斷의 아픔과 그것에 起因한 개인의 아픔을 객관적으로 형상화하였고,그 초월의 指向과 狀況의 비극성을 드러냄으로써 분단의 문제를 精神的 次元으로 이끌어 올린 점이 높이 評價되고 있다.작품의 배경은 光復으로부터 6.25終戰의 이르기까지의 남한과 북한 사회이다.작품의 줄거리는 대강 이러하다.남한에서 哲學課 학생으로서 平凡한 생활을 누리던 주인공 이명준은 월북한 아버지 때문에 경찰서에서 苦楚를 겪다가 월북하게 된다.그러나 북한 사회에 대한 幻想을 품고 월북한 그에게 북한 사회는 失望을 안겨 주었다.자유롭고 변화하는 사회를 찾아 월북한 그에게 북한 사회는 당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라는 족쇄를 체웠기 때문이다.이 과정에서 그는 윤애와 은혜라는 아가씨와 사랑을 하게 되나 둘 다 실패로 끝난다.그 이후 6.25 사변때 그는 국군의 포로가 된다.나중에 釋放될 때 남과 북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그는 남한과 북한 그 어느 쪽도 택하지 않고 제3국행 배를 타고 가다가 甲板 위에서 投身 自殺을 하게 된다.이제까지 광장에 대한 문학 비평가들의 의견 및 줄거리를 간단히 알아 보았다.
나는 이 작품을 읽으면서 몇 가지 의문점을 가졌었는데,여기서 그 의문점에 대한 나의 생각을 나타내 보려한다.
무엇보다 궁금했던 점은 이명준이 追究했던 ‘광장’의 참 뜻이다.이명준은 광장의 종류의 一部로 정치의 광장,경제의 광장,문화의 광장을 言及하고 있다.그리고 정선생과의 대화에서 보면 정선생은,
“그 텅 빈 광장으로 시민을 모으는 나팔수는 될 수 없을까”
라는 말을 한다.이렇게 보면 광장이란 사전적 뜻대로 사람이 모이는 넓은 곳 즉,사회를 뜻하는 것 같다.그러나 이명준의 대화를 볼 때 단순한 사회는 아닌 듯 싶다.그는,
“필요한 약탈과 사기가 끝나면 광장은 텅 빕니다.광장이 죽은 곳,이게 남한이 아닙니까광장은 비어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