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동엽의 진달래 산천
|
|
|
|
신동엽의 진달래 산천'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에서 동남쪽으로 5㎞ 남짓 떨어진 경남 산청군 삼장면 상내원리. 1963년 11월12일 새벽 어둠이 몇 발의 불길한 총성에 찢기며 진저리를 쳤다. 지리산에 남아 있던 마지막 빨치산 2명 중 이홍이가 사살되고 정순덕은 총상을 입고 생포된 것이었다. 신문들은 망실공비(亡失共匪)'를 잡았다며 호들갑을 떨었다.
그러나 정작 빨치산이 우리 역사로부터 망실된 것은 그보다 훨씬 전이었다. 아마도 1955년 4월1일 지리산에 대한 입산통제가 해제된 때를 그 시점으로 잡을 수도 있으리라. 휴전협정이 체결된 지 2년이 가깝도록 전투지역으로 취급받아온 지리산이 마침내 전란의 허울을 벗게 된 그 순간에도 남한 전역에는 59명의 빨치산이 남아 있는 것으로 당국은 파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이미 남쪽 체제를 위협하지도 북의 혁명노선을 부추기지도 못하는 채 하루하루의 생존에 절대의 가치를 두고 있었다.
남쪽 체제에 대한 저항을 존재이유로 삼았으되 종내는 북의 권력자들로부터도 버림받은 빨치산은 한국 현대사가 낳은 가장 큰 모순과 비극의 담지자들이라 할 만하다. 당연히 그들은 수다한 시인․작가들의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했음직 하다. 한국문학에서 빨치산의 형상화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신동엽(1930~69)의 시 진달래 산천'을 단순하게 빨치산 시라고 단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를지도 모른다. 제목에서나 12연 49행의 이 시 전체를 통틀어서도 명백히 빨치산을 가리키는 단어는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인이 암시적․간접적으로 심어 놓은 몇몇 시적 장치들을 뜯어 보면 이 시의 주인공을 빨치산으로 상정하는 데 그리 무리는 없어 보인다.
길가엔 진달래 몇 뿌리/꽃 펴 있고,/바위 모서리엔/이름 모를 나비 하나/머물고 있었어요.//잔디밭엔 장총을 버려 던진 채/당신은/잠이 들었죠.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