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_(발표자용)
리포트 > 독후감/서평
이황_(발표자용)
한글
2012.03.22
9페이지
1. 이황_(발표자용).hwp
2. 이황_(발표자용).pdf
이황_(발표자용)
[서론]
이황 교육사상의 철학적 기초와 인간관

동방의 주자로 일컬어지는 이황(李滉, 號 退溪, 1501-1570)은 한국의 교육사상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조선시대의 사회이념이었던 도학사상을 이론적으로 확고하게 정립함으로써, 도학의 철학적 수준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으며 한국유학의 특성과 방향을 정립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그는 한국철학사에서 조선시대의 성리학을 대표하는 석학(碩學)이며, 동시에 유교전통에서 보면 그는 도학정신을 생활 속에 실천하는 인격으로 구현한 정인군자(正人君子)로서, 조선시대 도학적 인격체의 전형(典型)인 선비상의 모범으로 존경받아 왔다. 이러한 이황은 성리학적인 입장에서 평등·보편의 세계는 理(이) 로써, 후천적인 차별의 세계는 氣(기) 로 간주하고, 理 에 능동성·자발성을 부여하여 철저하게 氣의 세계를 理의 세계에 종속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이황은 사단칠정론에서 사단은 理가 발한 것이고 칠정은 氣가 발한 것이라고 주장하여 심성정(心性情)에 대한 분석에 이기철학을 적용시켰다.
따라서 이황은 인간의 본질적인 성(本然之性)인 사단은 순선무악(純善無惡)인 것임에 반하여, 비본질적인 성(氣質之性)인 칠정은 선과 악이 혼재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기질을 갖고 있는 인간은 기의 작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천리와 인욕의 상극을 내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의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서 입증하였다.
....
이황[李滉]의 교육사상[敎育思想] 성리학에 대한 개념과 정의 및 퇴계이황과 율곡..
명심보감 자신에게 철저히 , 자기관리의 방법을.. 남명조식과퇴계이황
[한국사]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이황에 대해
이황과 정약용 교육사상 비교 퇴계 이황의 철학 및 사상
철학자 - 시대를 역행하는 퇴계 이황선생의 가.. 정신건강개론 및 자기발견과 적응 분석과 성리..
퇴계이황1 조선시대 대표 학자 이황
퇴계이황 [교육학과-교육사공통]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
 
호밀밭의 파수꾼
[독후감] 호밀밭 파수꾼 을 읽..
[독후감]호밀밭의 파수꾼을 읽..
[독후감] 모리와 함께 한 화요..
[A+레포트] 돈으로살수없는것..
사회복지사의 희망 이야기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