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어 파싱에 대한 고찰
|
|
|
|
한국어 파싱에 대한 고찰
1. 서론
1.1 파싱이란
1.2 문법체계의 선정
1.3 한국어의 특성
1.4 한국어 파싱에 관한 연구
2. 단일화 기반 문법의 이용
2.1 HPSG계열 문법체계의 이용
2.2 기타 단일화 기반 문법 파싱
3. 의존 문법에 의한 한국어 파싱
3.1 의존문법
3.2 파싱방법
3.3 검토
4. 구 구조문법의 이용
4.1 어순의 자유성과 구 구조문법
4.2격 결정과 평면구조
4.3구 구조문법을 이용한 파싱
5. 의미정보의 이용
5.1 미지문법관계의 결정
5.2 생략된 문장 성분의 복구
5.3 어휘적 및 통사적 중의성 해소
5.4 통계적 정보에 의한 대체
6. 결론
1. 서론
1.1 파싱이란
* 자연어 파싱 : 자연언어 문장의 문법적 구조 (=파스트리)를 밝히는 작업
* 중요성 : 대표적으로, 의미(semantics)의 합성(composition)의 원리
1.2 문법체계의 선정
* 문법체계 : (자연어의 모든 문장들에 대한) 구문적 구조를 기술하기 위한 문법에 대한 기본 틀
* 문법체계의 예:
변형생성문법 (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지배-속박 이론 ( Government-Binding Theory )
어휘함수문법 ( Lexical Functional Grammar )
일반구구조문법 ( Generalized Phrase Structure Grammar )
중심어주도 구구조문법 ( 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
1.3 한국어의 특성
* 중심어의 후행성과 어순의 자유성
- 동사와 이의 보조어인 체언구 사이에는 주격이나 목적격과 같은 격(case) 관계가 존재.
- 영어는 명사구의 위치 정보가 문법관계를 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조사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 생략 현상의 빈번함
.... |
|
|
|
|
|
|
|
|
|
|
|
|
|
|
|
|